분류 전체보기 186

[차트] 워드클라우드와 스캐터플랏

워드클라우드 [ ex. Sub-Category를 Sales에 따라 워드클라우드로 나타내기 ] Sub-Category 를 텍스트에 Sales를 크기에 마크 유형을 텍스트로 Sales를 색상에 넣어주면 Sales의 크기별로 색상 진하기가 달라짐 스캐터플랏 [ ex. Sales와 Profit 사이 상관관계 ] Sales와 Profit을 각각 열선반, 행선반에 올리고 상단 tab > 분석 > 측정값 집계 해제 [ ex. 측정값들 사이의 상관관계 ] 여러 지표간 상관관계를 보고싶은 경우 X축과 Y축을 매개변수를 활용해서 계속 바꿀 수 있도록 만들어보자 ! 1. 매개변수 만들기 (이때 입력하는 값의 이름은 꼭 측정값과 같을 필요는 없음, 뒤의 계산된 필드에서 여기서 선언한 이름과 측정값을 잘 매칭해주기만 하면 ok..

Tableau 2023.07.05

[차트] 영역차트와 히스토그램

영역차트 마크 > 영역 열 선반 > 차원 1 행 선반 > 측정값 색상 > 차원 2 [ ex. 월별 Category별 Sales ] 항목들을 쌓아서 표현한다는 특징이 있음 이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단의 분석 > 마크 누적 > 해제 각 마크를 누적해서 보여주는 것이 아닌 따로 떨어트려 보여줌 좌측의 연필 : 선택된 항목 하이라이트 각 class가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 확인가능 히스토그램 측정값을 구간차원으로 만들어줘야함 [ ex.사람들이 물건을 몇개씩 구매하는지? ] 1. 측정값을 구간차원으로 만들기 (측정값을 차원으로 보이게끔) Quantity 우클릭 > 만들기 > 구간차원 > 구간차원 크기 설정 2. 히스토그램 그리기 Quantity(구간차원) 을 열 선반에 올리고 몇개를 샀는지 보기 위해 Ord..

Tableau 2023.07.05

[차트] 라인차트, 도넛차트

라인차트 트렌드와 흐름 분석에 많이 사용 시간별 추세 확인, 미래 예측에 가장 유용 [ ex. 4년동안의 Sales와 Profit 흐름 분석 ] order date를 열 선반에 > sales를 행 선반에 > profit을 y축에 > order date를 연속형 월로 >> 4년간의 profit과 sales 흐름 파악 가능 예측 모드 활용 좌측 분석 > 모델 > 예측 을 시트로 드래그 라인 유형 선택 가능 적절한 레이블링과 머릿글 지우기가 중요 ! 최소/최대, 시작점/끝점 등 도넛차트 ex. Segment별 매출 1. 도넛 모양 만들기 마크 > 파이차트로 변경 빈 행선반에 0 축을 2개 만들어줌 우클릭 > 이중축 전체보기 첫번째 원 크기 늘려주고 두번째 원 크기는 적당히 조절 두번째 원 색상을 없애줌 두 축..

Tableau 2023.07.05

[차트] 막대차트, 트리맵, 대시보드 상호작용과 도구설명 필터

막대차트 기본 구성 차원 1개 측정값 1개 마크 유형 : 막대 색상 차원을 색상에 넣게되면 1단계 깊은 분석 가능 측정값을 색상에 넣게되면 측정값의 크기별로 색상이 그라데이션으로 나타남 트리맵 기본 구성 마크 유형 : 사각형 크기 : 측정값 (차원으로 니눠서 본 측정값의 크기대로 사각형이 나오게끔) 레이블 : 차원 (측정값을 나눠서 볼 기준) 색상 : 측정값 (측정값의 크기대로 색상이 그라데이션되게끔) 대시보드 필터 상단 메뉴 > 대시보드 > 동작 > 동작 추가 ex. sub-category가 변했을 때 manufacturer가 변하게 하고 싶은 경우 필터 이용 (sub-category가 manufacturer의 필터로 작용하도록) sub-category에 마우스오버시 필터 (마우스를 올리면 필터 적용)..

Tableau 2023.07.05

[필드] 연속형과 불연속형, 측정값과 차원

불연속형이라고 모두 차원이 아니다. 불연속형이어도 측정값일 수 있다 연속형이라고 모두 측정값이 아니다. 연속형이어도 차원일 수 있다 Example : [Year] YEAR( [Order Date] ) Year를 기준으로 Sales를 집계하고 싶은 상황 ! 1. 불연속형 차원 불연속형이므로 축이 아닌 헤더가 생기고 (2020, 2021, 2022, 2032) 차원이므로 Year의 값이 집계되지 않고 기준이 생김 2. 연속형 차원 연속형이므로 연도를 나타내는 축이 생겼고, 차원이므로 집계되지 않고 기준이 됨 1. 불연속형 측정값 불연속형이므로 Year에 축이 아닌 헤더가 생겼고, 측정값이므로 모든 Year가 합계로 집계 하지만 우리는 연도를 기준, 즉 차원으로 두고 Sal..

Tableau 2023.07.05

[필드] 차원과 측정값의 개념

측정값과 차원 측정값 : 우리가 궁금한 값 자체 (매출, 수익 등) 차원 : 궁금한 값을 나눠서 볼 기준 (지역별, 카테고리별 등) 차원 뷰의 세부 수준에 영향을 줌 즉, 뷰를 얼마만큼 쪼개서 볼 것인지에 영향을 줌 행선반, 열선반, 색상, 크기, 라벨, 세부정보 등에 차원을 추가하면 마크 수가 바뀜 측정값 측정값을 뷰로 끌면 기본적으로 SUM으로 집계 분석 목적에 맞게 적절한 집계로 변경 필요 (평균 등)

Tableau 2023.07.05

[필드] 연속형과 불연속형 필드의 개념

연속형과 불연속형 연속형 끊기지 않고 쭉 이어진 것, 초록 알약 모양 (Green Pills), 태블로에 연속형 데이터를 올리면 해당 값을 나타내기 위한 축이 생김 불연속형 각각이 별개로 구분되어있는것, 파란 알약 모양 (Blue Pills), 태블로에 불연속형 데이터를 올리면 각각의 이름을 나타내기 위한 헤더가 생김 연속형 필드와 불연속형 필드의 차이 (날짜) ex) 데이터 내 기간2020~2023 불연속형 월 (헤더) : 2020~2023 내 1월, 2020~2023 내 2월 ... 이런식으로 해서 1월 ~ 12월이 헤더로 나옴 -> 행 칸에 합계 Sales를 올리면 월별로 끊어서 합계 Sales를 구성 연속형 월 (축) : 2020~2023 내 모든 월이 축으로 나옴 -> 행 칸에 합계 Sales를..

Tableau 2023.07.05

[LOD 표현식] (4) FIXED

https://www.youtube.com/watch?v=5WKyLIVVXQw FIXED는 INCLUDE나 EXCLUDE보다 사용도가 높다 1. 화면의 구성 VLOD를 두고 차원을 더할건지/뺄건지 고민하는 INCLUDE/EXCLUDE FIXED는 내가 원하는 특정 차원으로 값을 고정해서, 내가 원하는 차원에 대해 데이터를 집계하므로 화면 VIEW를 고려할 필요가 없음 2. 결과 종류 include와 exclude는 측정값만이 결과값 fixed는 측정값, 차원 모두 가능 3. 작동 순서 INCLUDE와 EXCLUDE는 차원필터에 영향 FIXED는 차원필터보다 계산이 우선시됨 (차원필터를 컨텍스트필터로 바꾸면 컨텍스트필터 -> FIXED 순) Case1 : FIXED LOD에서 선언한 차원이 VLOD에 포함..

Tableau 2023.07.05

[LOD 표현식] (3) EXCLUDE

EXCLUDE EXCLUDE LOD에 명시된 차원을 제외한 후 집계가 이루어짐 (첫번째 계산) VLOD에 맞춰 표현하기 위해 첫번째 단계의 결과를 복제 (두번째 계산) EXCLUDE LOD에 명시하는 차원이 현재 VLOD에 포함되어있어야 효과적으로 LOD 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음 [EXCLUDE Example] 각 city의 소속 state에 대한 profit 기여도를 지도에 표현 (원 : 각 도시 / 색상 : 수익 기여도 / 크기 : 수익 또는 손실 규모) 0. 각 도시를 원으로 나타내야 함 -> VLOD는 city 1. 색상 (각 도시가 주 수익에 기여하는 정도) -> 계산될 필드 이용 도시별 수익의 합계를 각 주별 수익 합계로 나누어야 함 [ Pfofit Countribution ] SUM([Pro..

Tableau 2023.07.05